제품의 차별화된 감성을 완성하는 'CMF'

Atomy Design Lab
Sanchez   I   이유신
usin.lee@atomypark.com





차별화된 CMF는 특별한 제품 감성을 전달한다.

<American Luxury / Joogii's Iridescent Furniture Line>



01. 우리는 남들과 다른 제품을 갖고 싶다.


제품을 구매할 때 형태와 더불어 가장 우선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요소 중 하나는 Color, 바로 색상이다. 소비자는 필요한 기능을 확인하고 해당 기능을 갖는 수많은 비슷한 성능의 제품들을 비교한다. 이때 제품의 형상과 함께 선호하는 색상을 고민하게 마련이다. 형상과 색상을 확인하고 제품을 만지며 느껴지는 촉감과 사용상의 감성, 제품의 마감 품질을 확인하여 구매를 결정한다. CMF는 이렇게 소비자의 제품 구매 process 가장 선두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가 된다. 제품 구매의 모든 어포던스에 영향을 미치는 CMF디자인과 차별화 전략을 알아본다.


"2022 CES 에서 BMW는 E-ink 적용으로 외장 색상 및 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SUV 모델을 선보였다."


<2022 CES. The BMW iX Flow featuring E Ink. 출처 : bmw.com>



02. CMF


디자인 수준의 일반화로 인해 제품 차별화의 한계에 도달한 현대에서 CMF의 차별화는 디자인의 감각적 경험을 구체화하며 제품의 심미적인 면과 사용자 경험 면에서 차별성을 이끌어내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의 산업 프로세스에서 CMF는 디자인 된 제품의 follow up 단계에서 제품의 양산화를 위한 구체화 과정이었지만, 현대의 산업 프로세스에서 CMF는 제품의 완성도와 차별화된 고급감을 달성하기 위해 제품 디자인과 개발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심도 있게 검토되고 있다. 나아가 시장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로 부각되며 많은 메이커들이 차별화 된 CMF 개발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품개발 전 프로세스에 연관된 CMF. 출처 : CMF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4>


 CMF는 일반적으로 Color, Material, Finishing으로 정의되며, 제품의 개발 과정에서 검토되는 색상과, 소재, 그리고 마감의 3요소를 의미한다.


- Color

 색상은 제품 선택의 가장 선두에 있는 요소이다. 여러 제품 디자인의 요소중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영역이다. 많은 디자이너와 단체들은 매년 Trend Color를 예측하고 시장의 선도를 위해 노력한다. 글로벌 색제안 기업 Pantone은 시즌마다 올해의 color를 발표하며 Color 시장을 이끌고 있다. 노루 페인트, KCC, 제비스코 등 국내 외 많은 색채 기업들도 해마다 그들만의 Color 제안을 만들어내고 많은 디자이너들의 영감활동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Color는 시장에서 제품의 성공을 좌우하고 제품의 분위기를 가장 손쉽게 전환 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삼성과 애플 등 스마트폰 메이커들은 신제품 출시 때 마다 해당 시즌의 Main color를 선정하고 발표하며 팬덤 형성을 노리는 컬러전략을 빠짐없이 활용한다.


<NCTS. 출처 : 노루페인트 / KCC 컬러&디자인센터. 출처 : KCC / Very Peri. 출처 : pantone>


<WSGN+Coloro 2022 S/S Key Color. 출처 : WSGN>


- Material

소재는 제품을 형성하는 기반이다. 현대 산업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재는 플라스틱이다. 1900년대 초반 플라스틱 상용화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양산 제품에 플라스틱이 적용됐다. 1900년대 후반 다양한 소재의 적용에 대한 시도가 시작됐다. 금속과 플라스틱을 주로 만들어지던 냉장고에 화려하게 페인팅 된 유리를 적용하거나, 금속표면처리를 다각화 하는 차별화를 시도했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 된 특수 플라스틱을 적용하여 표면에서 발생하는 시각적, 촉각적 차별성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소재는 차별화 된 고급감을 제공하는 요소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Fake소재의 감성과는 다른 Real 소재의 적용은 '비용과 양산의 효율성 vs 고급감성의 완성'이라는 대립하는 두 가지 방향성안에서 수많은 고민과 시도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소재는 친환경적 요소화 결부되어 제품의 친환경적 성향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로 부상하며 PCR, PIR, BIO 플라스틱등 탄소 배출 저감과 재사용이 고려된 플라스틱과 PLA등 생분해 플라스틱의 개발 및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영구 사용이 가능하거나 화학적 과정이 최소화 되는 금속, 세라믹, 석재, 목재 등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검토 되고 있다. 


<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 :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세라믹, 목재와 페브릭 >


- Finishing

마감공정(Finishing)은 생산기술력과 가장 결부되는 요소이다. 마감공정은 보통 표면가공과 코팅으로 그 개념을 포괄할 수 있다. 산화코팅, 라미네이팅, 적층 접합, 부식, 단조, 패턴 가공 등 다양한 코팅과 가공법을 통한 표면마감이 가능하다. 소재의 표면은 원소재의 성향도 중요하지만 앞서 언급한 가공법들로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서 촉각이나 시각으로 전달되는 감성이 달라진다. 같은 금속 소재도 표면에 매끈한 폴리싱 처리를 하는것과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만들어 거친느낌을 만드는 부식처리를 하는 것으로 시각적인 표면의 부드러은 빛 번짐이나 반짝임, 촉각으로 느껴지는 미끄러짐과 저항감으로 인한 밀착감, 파지감 등에서 완전히 다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마감은 색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페인트를 사용하는 도장 처리로 제품의 상도면에서 직접적이고 선명한 색감을 전달할 수 있고, 다층 코팅, 다양한 투과 성질과 굴절 성질의 투명 도료 코팅으로 이중적인 색감과 깊이감 연출도 가능하다. 증착이나 도금같은 금속성 물질의 코팅처리를 통해 도료로 연출이 불가능한 다중색감이나 금속색감 마감처리도 가능하다. 알루미늄은 아노다이징으로 표면에 산화 피막 을 형성시켜 독특한 느낌과 색상을 연출 할 수 있다.



<아노다이징, 분체도장, 샌드 블라스팅 등 다양한 금속의 표면 처리 공법. 

이미지 출처 : BYTUNE, HAESOL, COOCATIA>



03. 소재 기술과 CMF의 성장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CMF 개발은 디자인의 현실화를 위한 과정이다. 상상 속의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여 현실화된 제품으로 창출하기 위해서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소재 및 표면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석기시대에 돌도끼부터 청동기와 철기시대에 금속을 활용하는 도구들이 존재하는 것처럼 소재의 발전은 인간이 만들어내는 제품의 기능과 성능, 외관 등 전반적인 품질과 범위 성장의 기반이 된다. 소재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감성과, 더욱 향상된 성능, 구현할 수 없던 형상의 실현 등을 가능하게 한다. 대표적인 글로벌 소재 개발 전문 기업인 Dupont 사는 1900년대 10종류 정도의 소재에서 2000년대 이르러 200여 종 이상의 소재를 개발했다.


이는 2000년대 제품개발에서 CMF의 다각화와 활성화를 대변하는 주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1800~1900년대 산업혁명 당시 금속 소재 가공 기술의 발달로 산업디자인이 출연하고, 1900~1970년대 플라스틱 혁명으로 유기적인 형상의 팬톤 체어가 등장했다. 이후 백색과 흑색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대중화된 가전이 대거 등장하며 일률적인 제품에 지친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할 수 있는 CMF 차별화의 움직임이 활성화된다. 현대의 시장에서는 친환경 가치를 중요시하는 소비 트랜드가 확장되면서 재사용, 재활용, 영구사용 소재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이처럼 과거 소재 기술의 등장이 제품의 차별화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였다면 백색/흑색 가전 시대로 기억되는 1900년대 후반을 지나며 차별화된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소비가치 중심의 CMF 개발 움직임이 현대 시장에서 제품 차별화의 주된 요소로 자리잡고있다.



<시대별 소재의 발전에 따른 CMF 변화>



04. CMF의 역할



"높은 마감수준과 차별화 된 소재, 정돈된 톤의 색감 적용으로 고급감을 전달하는 B&O"


<B&O 스피커>


CMF는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에서 오감의 다각화된 채널로 전달될 수 있는 제품의 가치 판단 지표이다. CMF의 품질 수준에 따라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감성적 가치의 수준이 결정되며, 구매 욕구와 제품의 고급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제품의 색상에 따라서 소비자의 시각적 환심을 얻는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은 이미 많은 소비 심리 관련 연구에서 증명됐다. 현대는 색상과 더불어 재질과 마감 또한  제품의 흥망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많은 연구의 주제로 선정되고있다. "Form Follows Emotion"을(현경훈 2016, 색상, 재질과 마감(CMF) 디자인이 구매욕구에 미치는 영향) 주로 하는 현대에서 CMF는 제품의 판매 정도와 직결되는 주요한 디자인적 요소의 역할을 한다. 흔히 말하는 명품의 고급감은 소재와 브랜드 고유의 color, 마감의 품질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때 심플한 디자인으로 인기였던 샤오미의 블루투스 스피커는 저렴한 가격과 가격 대비 성능의 만족감으로 소비자의 인기를 얻을 수 있었지만, 고급감과는 거리가 있었다. 반면, GENEVA의 투어링 모델은 비슷한 디자인 방향을 보여 주지만, CMF의 완성도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GENEVA의 스피커 제품들은 명품 스피커 브랜드로 인지되며 소비자의 워너비가 되고 있다.


음향 기술의 우월성도 한몫하지만, 실제 두 제품을 비교해 보면 사출과 알루미늄 바디 가공으로 만들어진 샤오미 제품과 수작업으로 만들어진 GENEVA의 외관에서 느껴지는 CMF Quality의 차이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으며, 이 차이가소비자에게 인지되는 제품의 가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된다. 대량생산된 Metal Body 과 플라스틱 사출로 만들어진 샤오미의 소형 블루투스 스피커 라인은 제법 수준 높은 만듦새를 제공하지만, 수작업으로 정밀하게 만들어진 Metal body와 가죽 소재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GENEVA 블루투스 스피커 라인만큼 그 고급감을 충분히 전달하지는 못한다.


<Xiaomi Cube box / Geneva Touring M>


05. 합리적인 고급감을 완성하는 CMF기술 


앞서 확인한 스피커 라인의 예처럼  CMF는 제품의 고급감을 전달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품의 양산화에서 대량생산의 효율성을 확대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분에서도 CMF의 역할이 도드라진다. 소재는 제품의 외관에서 사용자의 오감을 통한 사용감성 가치 형성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진짜 가죽으로 만들어진 제품의 사용 경험은 발포PE, 또는 가죽 패턴이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로 만들어진 제품의 그것과는 다른 차원의 경험을 제공한다. 하지만, 고급 소재의 사용은 제품 가격의 상승을 불러오며 소비자의 접근을 방해하는 허들이 되어 대량 생산과 대중화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CMF 디자인 단계는 투자되는 비용 대비 효과적인 고급감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공법을 통해 고급감을 완성하는 표면처리 기법의 양산 적용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고급스러운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자동차 인테리어의 대시보드, 도어 데코 파트의 경우 고급 감성 전달을 위해 원목을 사용하거나, Real Metal, Carbon 등을 사용하지만 이는 일반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고가의 자동차에 국한된다. 이에 일부 양산차에는 수전사를 통한 마감으로 원목이나, 헤어라인 메탈, 카본 패턴 등을 적용해 경제성과 시각적 고급감을 유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진짜 원소재에 버금가는 촉감과 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인몰드 필름 기술의 발달로 원소재 대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디자인 비용 제한이 어느 정도 해소된 마감을 제공할 수 있는 CMF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CMF 디자인과 기술은 제품의 부가가치를 경제적인 비용으로 향상시키며 고급감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고급감을 완성하는 다양한 표면 처리.  출처 : 아우디, 볼보, LG>



06. 차별화 전략의 핵심 CMF


감성 디자인 발전의 시발점이라 해도 손색이 없는 휴대전화 시장에서 CMF 차별화를 통한 제품 가치의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초기 휴대전화는 플라스틱 사출 기반에 인몰드 필름, 증착, 도장 등의 후가공 기법을 적용하며 브랜드의 가치 형성을 유도했다. 초기 휴대전화 시장에서 차별화된 CMF 전략을 보여줬던 SKY 휴대전화 시리즈는 검은색 또는 메탈 실버 색상이 대부분이었던 휴대전화 시장에서 고급스러운 화이트 펄 바디의 CMF를 선보이며 프리미엄 가치를 형성하고 이는 시장에서 유효하게 작용했다.



 <펄 화이트 색상이 적용 된 스카이 2G 휴대전화. 출처 : 나무위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풀 터치 방식의 휴대폰으로 시장의 변화했고 이때 등장한 아이폰은 고광택 몽블랑 플라스틱을 적용한 과감한 CMF로 경쟁기업의 제품들과 차별화되는 전략을 충분히 활용했다. 이어 등장한 아이폰4에서도 과감한 CMF 차별화 전략으로 가볍고 강도 높은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에 강화유리를 적용하며 월등한 고급감을 제공했다. 이는 시장에서 지금까지 이어지는 아이폰의 팬덤 형성에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애플은 이러한 CMF 차별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샴페인 골드 color의 등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격렬하게 환영받았고 이어 시장의 허를 찌르는 유색 바디를 선보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며 시장 1위 기업의 입지를 지켜왔다. 


<CMF 차별화 전략이 돋보이는 애플 아이폰. 출처 : 애플>


 최근 스마트폰은 패션의 영역까지 들어서며 CMF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CMF 차별화 전략을 보이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삼성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 플립" 시리즈의 경우 비스포크 브랜드로 커스터마이징 된 혁신적인 CMF를 소비자에게 선보이며 아이폰의 디자인 아성을 무너뜨리는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내고 있다.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한 갤럭시 Z 플립 비스포크 에디션. 출처 : 삼성>



07. CMF와 친환경 전략 


최근 시장의 가장 큰 흐름은 '친환경', '지속가능성' 이다. 소비의 물질적 가치보다 더 큰 가치를 위한 제조와 소비의 트렌드가 시장을 지배하면서 친환경 가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있다. 특히 소비재의 용기는 친환경가치에 반하는 가장 큰 요소로 부상하며, 다양한 시도의 친환경 전략이 펼쳐지고 있다. 라벨 프리 제품의 등장, 분리 수거를 통한 재사용 전략 등 시스템과 아이디어를 통한 전략이 시장에 속속 적용 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CMF의 혁신을 떠올릴 수 밖에 없다.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해 방대한 양이 소비되고있는 플라스틱 소재들은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다. 이런 플라스틱의 환경위해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생분해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등 다양한 종류의 소재가 개발 되고 있다.


비닐류 포장재의 친환경 대체품으로 특수 코팅 표면처리가 된 종이 포장재도 속속 시장에 등장하여 소비자의 친환경 가치에 대응 하고 있다. 친환경의 키포인트는 소재와 마감의 혁신에 있다. 폐기된 플라스틱 제품이나 생산 부산물을 다시 원소재로 가공하여 재생산하여 자원 순환의 효과를 높히는 PCR 또는 PIR 플라스틱을 가전제품에 적용하거나, PET를 수거하여 만든 원사로 직조된 플리스 원단으로 의류를 생산해 점점 필수가 되어가는 친환경 가치에 부응하고 있다. 2010년대 이전의 CMF가 매력적인 제품의 외관을 위한 전략이었다면, 2010년대 이후 CMF는 이제 미래를 위한 친환경 전략의 핵심 요소이다.


 <아임에코 100%PLA 생수. 출처 : 산수 / 친환경 종이 완충재 / 애터미 Bio-PE 커팅랩, 지퍼백>



08. 소재와 마감에서 만들어지는 고급감으로 대중명품을 완성한다. 


차별화된 색상(Color) 전략은 현대 산업 시장의 기본적인 전략이다. 이제 시장에서 소비자의 시야에 들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소재(Material)와 완벽한 마감(Finishing)을 통한 가치 형성이 제품과 브랜드의 성공을 위한 주요 요소로 자리 잡았다.



애터미는 제품의 차별화된 고급감 형성을 위해 디자인 면에서 무던한 노력을 하고 있다. 애터미의 디자인 Identity로 자리 잡고 있는 Serration 패턴 마감과 더불어 은은한 펄감과 광택감을 제공하는 반광 후가공은 제품의 고급감을 돋보이게 하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최초의 색조 라인으로 출시 된 'Adelica' 제품은 순백에 가까운 화이트 Color와 Natural한 색감의 고광택 골드의 날렵한 포인트 엣지 조합으로 고급감을 연출 했고, Matt라인의 제품에는 무광표면처리로 제품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CMF를 용기디자인에 적용했다. 출시를 앞둔 애터미 직수 냉온정수기는 전면의 강화유리 적용으로 사용 시 발생하는 오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CMF 적용과 더불어 친환경 소재인 PCR ABS 적용으로 지속 가능한 친환경 가치까지 만족하는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에 출시되는 애터미 모든 제품이 소재 차별화와 효과적이고 수준 높은 마감을 지향하며 백 년 넘도록 사랑받을 수 있는 글로벌 대중명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CMF 개발이 필요하다.




참고

1. 김선아, 나건 (2014). CMF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 진초아, 조영식 (2011). 기대가격과 CMF 요소와의 상관관계 :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3. 최영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1). 나노소재의 제품적용 동향 및 시장 전망

4. 후산, 최명식 (2015). 도자 소재를 활용한 주방용 소형 가전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국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5. 현경훈, 박정기, 이지현 (2016). 색상, 재질과 마감 (CMF) 디자인이 구매욕구에 미치는 영향

6. 곽정, 최명식 (2020). 스마트폰 CMF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아이폰 제품 디자인 중심으로

7. 한귀자 (2021). 제품디자인 트렌드 변화에 의한 CMF 연구

8. Youtube. 금오공과대학교 김선아 교수, 고급감을 높여주는 CMF 디자인

9. Youtube. 명품을 디자인하기 위한 4가지 필수 조건 (나건교수 3부)

10. Youtube. Stratasys | SSYS Talk | [1] 디자이너에게 CMF란?

11. Steemit.com | [디자인] CMF 디자인이란? | TUA. thereyouare

12. Live LG | 눈길이 가는 가전은 이유가 있다? LG 오브제컬렉션 컬러∙소재 디자이너들을 만나다



대표이사 : 박한길, 최승곤

본사: (32543) 충청남도 공주시 백제문화로 2148-21 

© 2022 ATOMY CO., LTD. ALL RIGHTS RESERVED